PUBLIC + 2024 + 13,363.55㎡
서울동명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가 위치한 마장동 일대는 학교를 둘러싼 지역 전체가 고립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동명초등학교의 단절된 환경을 개선하고 마을 전체가 함께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교 ‘사이’, 학교와 지역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 공간에 애정을 느끼고, 지역사회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는 입체적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학교의 배치는 넓은 부지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간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주동 사이의 환경이 열악하여 학생들의 일상에 불편을 초래했습니다. 이에 기능별 주동을 재배치하여 경직된 공간 구조를 해소하고, 친근한 면학 분위기의 학교로 새롭게 계획하였습니다. 주동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사이공간은 학교 안팎의 활동을 연결하며, 학생들의 창의성과 정서적 애착을 키우는 공간으로 작동합니다.
학교의 역할은 교내 학생을 돌보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데 있습니다. 북측의 낮은 담장과 개방된 운동장은 시각적·공간적으로 열린 경계를 만들어 통학 환경을 개선하고, 방과 후에는 학생과 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생활공간이 됩니다. 통학로를 따라 조성된 선형의 작은 공원은 학교 전체를 마을의 휴식터로 인식하게 하며, 교육과 지역이 함께 호흡하는 일상의 풍경을 완성합니다.
조감도
창의마당: 창의마당에 인접한 실들의 가변 구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이 가능하도록 계획
활력마당
동명숲: 자연에 가까운 모습의 선큰가든(동명숲)을 중심으로 시청각실과 식당의 개방감 확보
및 친환경적 공간의 구성
아트리움: 외부공간과 연계되고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아트리움
조감도
다양한 외부공간: 내·외부가 확장되는 창의적 혁신공간
동명초등학교의 배치는 넓은 면적에 비해 외부공간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생태체험공원까지의 동선이 멀어 이용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다양한 외부공간을 조성하여 내외부 공간의 연계성과 외부 활동의 다양성을 증진합니다.
교실특화 - 고학년
교실특화 - 고학년 상세
교실특화 - 저학년, 특수교실
교실특화 - 저학년 상세
단면계획
친근한 면학분위기의 학교 조성
기존 학교 내부 공간의 기능별 영역의 경계가 불확실하고, 주동 사이의 열악한 환경으로 학생들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 건물의 거대한 주동을 기능별로 재배치하여 경직된 공간구조를 없애고 친근한 면학 분위기의 학교로 계획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