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이고 완결성 있는 뇌연구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의 연구 공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좌뇌와 우뇌의 감성을 모티브로 기능적·활동적·감성적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중심에는 ‘시냅스 광장’을 배치하여 클러스터의 연결성과 상징성을 강화하였습니다.

연구원의 휴식과 소통을 위한 쾌적한 외부 공간으로 활기마당, 열린마당, 힐링숲 등을 계획하여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이며 스토리가 있는 식재 계획을 통해 연구원분들의 심신을 맑게 해주는 녹지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증축 부지로 활용 가능한 열린마당은 활기마당과 연계하여 연구원분들의 다양한 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하였습니다.

건물의 중심부에는 아트리움을 두고 DATA STATION과 카페테리아를 분리하였으며, 서버실 접근 동선에 대해서는 총 세 단계의 보안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카페테리아는 힐링숲과 연계하여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습니다. 모든 시설은 실험 동선과 공용 동선을 명확히 구분하여 실험실의 안전을 확보하고 쾌적한 연구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시설별 용도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층고 계획을 반영하였습니다.
R&D + 2019 + PUBLIC + 10,702㎡

한국뇌연구동 2단계

미래지향적이고 완결성 있는 뇌연구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의 연구 공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좌뇌와 우뇌의 감성을 모티브로 기능적·활동적·감성적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중심에는 ‘시냅스 광장’을 배치하여 클러스터의 연결성과 상징성을 강화하였습니다.

연구원의 휴식과 소통을 위한 쾌적한 외부 공간으로 활기마당, 열린마당, 힐링숲 등을 계획하여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이며 스토리가 있는 식재 계획을 통해 연구원분들의 심신을 맑게 해주는 녹지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증축 부지로 활용 가능한 열린마당은 활기마당과 연계하여 연구원분들의 다양한 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하였습니다.

건물의 중심부에는 아트리움을 두고 DATA STATION과 카페테리아를 분리하였으며, 서버실 접근 동선에 대해서는 총 세 단계의 보안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카페테리아는 힐링숲과 연계하여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습니다. 모든 시설은 실험 동선과 공용 동선을 명확히 구분하여 실험실의 안전을 확보하고 쾌적한 연구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시설별 용도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층고 계획을 반영하였습니다.
연구동 전경
연구동 전경
연구동 전경
건물간 사용성과 연계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배치계획: 모든 건물을 통합하는 시냅스광장을 중심으로 학문적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광장주변 다양한 정원 및 편의시설 구성으로 연구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연구동 전경
연구동 전경
연구동 전경
건물간 사용성과 연계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배치계획: 모든 건물을 통합하는 시냅스광장을 중심으로 학문적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광장주변 다양한 정원 및 편의시설 구성으로 연구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단계별 완결성을 가진 미래지향적인 마스터플랜

1단계(좌뇌), 2단계(우뇌)의 기본 컨셉을 유지하면서 3단계를 아우르는 완결된 뇌연구의 상징성을 부여하는 단계별 유기적이며 조화로운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습니다.

한국뇌연구동 2단계

Other Works

KIST 연구동 환경개선사업

R&D + 2019 + PUBLIC + 10,702㎡

양자산업국제협력센터

R&D + 2019 + PUBLIC + 10,702㎡

충남대학교 XR 임상교육훈련센터

R&D + 2019 + PUBLIC + 10,702㎡
DESIGN GROUP FIVE